헬스, 다이어트

승모근이 뭉치는 이유

쇠버랜드 2023. 7. 15. 06:00
반응형

 

섬네일

포스팅 요약

이번 포스팅에서는 승모근이 뭉치는 이유와 라운드 숄더가 되어가는 과정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또한 어깨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도 있으니 참고해주시면서 운동하면 훨씬 도움 되겠어요!


요즘 날씨

밖의 온도가 30도 이상 넘어가고 에어컨 없이는 힘들고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는 그런 계절이 왔습니다.

외투를 벗고 가볍게 입을 그런 시기가 왔는데요.

 

옷 걸어진 사진
출처 : Unsplash

원피스나 오프숄더처럼어깨가 보이는 옷을 입을 때 신경 쓰이는 게 있습니다.

바로 라운드숄더, 우뚝 솟은 승모근

라운드 숄더인 여성
출처 : Unsplash

어깨가 보이는 옷을 입었을 때 둥그렇게 말려진 모습을 거울을 통해 보면 잠깐만 이라도 등을 곧게 펴려 하지만.

이내 다시 둥그렇게 말려버리는 라운드숄더와 옷 핏을 망치게 하는 승모근에 대하여 얘기해보려 해요:)

체형은 자세의 결과이며 자세는 습관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몸은 항상 중력과 대항하여 유기적인 자세를 유지하려 하는데 좋지 못한 자세로 인해 좋지 못한 체형이 되기 때문이죠.

 

밴드로 라운드숄더를 해결한다?

작부터 말씀드리자면 라운드숄더는 결코 어깨로부터 시작된 게 아닙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대부분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지내면서 골반의 문제가 가장 클 수 있는데요.

바르게 앉아있지 않고 둥그런 상태를 오래 유지하면 골반은 후방경사가 되면서 그 위쪽에 있는 척추는 골반에 맞게 이동하면서 적응하게 됩니다.

앉았을 때 골반의 움직임

컴퓨터 자판기나 필기, 스마트폰 등으로 팔을 계속 앞으로 해두면서 척추가 굽어지면서.

척추 주변에 있는 견갑골(날개뼈)은 좌우로 벌어지고 머리는 점차 앞쪽으로 뻗어지게 됩니다.

라운드 숄더 밴드
출처 : 네이버

 

 

체형은 근육, 관절이 서로 연관이 있는데 원인을 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어깨에 밴드를 착용했다고 해서 드라마틱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겠습니다.

어디서부터 시작된 문제인지에 대한 시작점에 대하여 조금만 생각해 보면 이해되실 겁니다.

승모근이 솟는 원인

모근이 솟아나게 되는 이유에는 머리의 위치에 관련이 많습니다.

목 엑스레이
정상적인 C자 커브
 
목 엑스레이(일자목)
일자목

자연스러운 목은 C자형 커브를 띄고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의자에서 지내는 생활로 인하여 골반과 척추의 굽음이 발생하면 목도 굽게 되면서.

그 위쪽에 있는 머리는 점차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데요.

EBS-다시학교
출처 : EBS 다시학교

 

약 4.5~6kg인 머리가 1cm 앞으로 나오게 되면 목에는 약 2~3kg의 하중이 가해지게 됩니다.

목의 힘으로만 머리를 지탱하기 힘들 때엔 주변근육에 SOS를 요청하는데 그것을 도와주는 근육이 사각근과 상부승모근 등 목 주변의 근육들입니다.

승모근

사각근 : 목의 움직임, 안정화, 호흡 등에 사용

승모근 : 목과 팔, 견갑골의 움직임 등에 사용

머리를 잡고 지탱하기 위해 목 주변의 근육들은 과사용 되면서 점차 단축되고 점차 솟게 되고 심할 경우 신경을 누르게 되면서 손끝의 저림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깨운동 시 알아두면 좋은 것들

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에는 중요하게 생각해둬야 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운동하는 해당 근육이(주동근) 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에서 끝나며 어떤 동작(기능)을 하는 근육인지 알고 운동하는 것과 그러지 않는 것의 차이는 상당히 큽니다.

어깨근육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3가지의 근육은 시작점이 다르지만 끝나는 지점은 윗팔뼈 부분으로 동일합니다.

삼각근
삼각근 옆앞뒤 모습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후면삼각근)

전면삼각근은 몸 앞에서 팔을 드는 동작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위치는 어깨의 앞부분 대부분과 쇄골 측면 1/3 지점 상부 표면에서 시작됩니다.

전면삼각근은 팔(상완)의 전방굴곡과 수평내전에 관여합니다.

(위, 전방굴곡)

(위, 수평 내전/모음)

웨이트트레이닝에서 프런트 레이즈, 덤벨과 바벨의 오버헤드 프레스가 해당됩니다.

(위, 바벨 오버헤드 프레스, 밀리터리 프레스)

(위, 덤벨 프론트 레이즈)

 


측면삼각근은 어깨의 견봉에서 시작하여 윗팔뼈에 붙어있는데요.

측면 삼각근
어깨의 구조

측면삼각근은 상완의 외전(Abduction)에 주로 관여 한합니다. ( 외전 : 팔을 벌려 올리는 동작 )

웨이트트레이닝에서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가 해당됩니다.

 

(위,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후면삼각근은 견갑골극에서 시작하는데요.

견갑골극에서부터 윗팔뼈(상완골)까지 분포되어 있습니다.

 

후면 삼각근

 

후면삼각근은 상완의 외전(Abduction)에 주로 관여한합니다. ( 외전 : 팔을 벌려 올리는 동작 )

(위, 수평 외전/벌림)

상완의 신전, 수평외전에 관여하며 상완을 스트레칭시켜 체간 및 둔부의 하방까지 뻗는데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웨이트트레이닝의 대표적으로 리어델트 플라이, 벤트오버 레터럴 레이즈, 케이블 페이스 풀 등이 있습니다.

(위, 밴트오버 레터럴 레이즈)

 

이렇게 해서 오늘 승모근 통증과 라운드 숄더, 어깨 움직임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